서지목록
시
연도 | 작품명 | 비고 |
1923.2 | 흰 눈白雪 | 《靑年》 |
1923.8 | 인생人生의 행로行路 | 《靑年》 |
1923.9 | 파波와 암岩 | 《靑年》 |
1925.1.18 | 봄 | 《每日申報》 |
1925.7.26 | 만월滿月 | 《每日申報》 |
1925.9.13 | 아침 뜰앞 | 《每日申報》 |
1926.3.16 | 겨울 시장(冬の市場, 일본어로 발표) | 《淸凉》 제3호 |
1926.3.16 | 겨울 식탁 (冬の食卓, 일본어로 발표) | 《淸凉》 제3호 |
1926.3.16 | 겨울 숲 (冬の森, 일본어로 발표) | 《淸凉》 제3호 |
1926.3.16 | 거머리 같은 마음 (蛭のやうな心, 일본어로 발표) | 《淸凉》 제3호 |
1926.5 | 야시夜市 | 《學之光》제27호 |
1926.5 | 오후午後 | 《學之光》 제27호 |
1926.5 | 저녁 때 | 《學之光》 제27호 |
1927.1.31 | 6월의 아침 (六月の朝, 일본어로 발표) | 《淸凉》 제4호 |
1927.1.31 | 마을 숲에서 (里の森で, 일본어로 발표) | 《淸凉》 제4호 |
1927.1.31 | 집으로 돌아가자 (家に歸らう, 일본어로 발표) | 《淸凉》 제4호 |
1927.1.31 | 하나의 미소微笑 (一つの微笑, 일본어로 발표) | 《淸凉》 제4호 |
1927.1.31 | 빨간 꽃 (赤い花, 일본어로 발표) | 《淸凉》 제4호 |
1927.1.31 | 노인老人의 죽음 (老人の死, 일본어로 발표) | 《淸凉》 제4호 |
1927.11 | 님이여 들로! | 《文友》 제5호 |
1927.11 | 살인殺人 | 《文友》 제5호 |
소 설
* 여인, 황야, 누구의 죄, 나는 말 못했다, 달의 파란 웃음, 홍조, 맥진, 필요, 노인의 죽음, 가로의 요술사 등은 정본전집
(이효석전집 6권/2016.11월 발간)에서는 소설로 분류하고, 원래는 콩트로 재단홈피에는 콩트로 기록.
연도 | 작품명 | 비고 |
1927.3 | 주리면…-어떤 생활의 단편 | 《靑年》 66호 |
1928.7 | 도시都市와 유령幽靈 | 《朝鮮之光》 79호 |
1929.6 | 행진곡行進曲 | 《朝鮮文藝》 2호 |
1929.6 | 기우奇遇 | 《朝鮮之光》 85호 |
1929.11.13 | 북국점경北國點景 | 《삼천리三千里》 3호 |
1930.1 | 노령근해露領近海 | 《朝鮮講壇》 |
1930.4 | 깨뜨러지는 홍등紅燈 | 《大衆公論》 2권 3호 |
1930.5 | 추억追憶 | 《新小說》 3호 |
1930.6 | 상륙上陸 | 《大衆公論》 2권 5호 |
1930.8.9~20 | 마작철학麻雀哲學(전 12회) | 《朝鮮日報》 |
1930.9.19 | 북국사신北國私信 | 《每日申報》 |
1931.6 | 노령근해露領近海(단편집短篇集) |
同志社 |
1931.7 | 오후의 해조諧調 | 《新興》 5호 |
1931.9 | 근황일장近況一章 | 《時代公論》 |
1931.12~1932.2 | 프렐류드Prelude(1~3) | 《동광東光》 28~30호 |
1932.1 | 제일엽第一頁 | 《時代公論》 |
1932.2 | O·K | 《時代公論》 |
1932.3 | 오리온과 능금林檎 | 《三千里》 4권 3호 |
1933.1 | 시월十月에 피는 능금林檎꽃 | 《三千里》 5권 1호 |
1933.3~1934.3 | 주리야朱利耶 | 《新女性》 34호 |
1933.8.3.~19 | 약령기弱齡記 | 《朝鮮日報》 |
1933.10 | 돈豚 | 《朝鮮文學》 3호 |
1933.10 | 가을의 서정抒情 | ① 《三千里》 5권 10호 |
1934.1.3~8 | 마음의 의장意匠(전 4회) | 《每日申報》 |
1934.11 | 일기日記 | 《三千里》 6권 11호 |
1934. 12 | 수난受難 | 《中央》 14호 |
1934.12 | 풍토기風土記 | 《開闢》 2호 |
1935.3 | 돈豚(재수록) | 《三千里》 7권 3호 |
1935.7 | 계절季節 | 《中央》 3권 6호 |
1935.10.11~31 | 성화聖畵(전 16회) | 《朝鮮日報》 |
1935.11 | 수탉 | 《三千里》 7권 10호 |
1936.1 | 산山 | 《三千里》 8권 1호 |
1936.1.11 | 사냥 | 《東亞日報》 |
1936.1~2 | 분녀粉女(상, 하) | 《中央》 |
1936.3 | 들 | 《新東亞》 53호 |
1936.4 | 천사天使와 산문시散文詩 | 《四海公論》 |
1936.7 | 인간산문人間散文 | 《朝光》 |
1936.8 | 석류柘榴 | 《女性》 5호 |
1936.9 | 고사리 | 《四海公論》 17호 |
1936.10 | 메밀꽃 필 무렵 | 《朝光》 12호 |
1936 | 화재火災 | (1974년 문원각文元閣 발행 『現代韓國短篇文學全集』 李孝石편 2권에 수록되어 있으나 출전은 미상) |
1937.1 | 낙엽기落葉記 | 《白光》 1호 |
1937.2 | 노령근해露領近海 | (재수록)《四海公論》 22호 |
1937.2 | 메밀꽃 필 무렵蕎麥の花の頃 | 《文學案內》 |
1937.4 | 성찬聖餐 | 《女性》 13호 |
1937.6 | 삽화揷話 | 《白光》 6호 |
1937.10 | 개살구 | 《朝光》 |
1937.10~1938. 4 | 거리의 목가牧歌(1~7) | 《女性》 19~25호 |
1938.1 | 장미薔薇 병病들다 | 《三千里文學》 1호 |
1938.2.15 | 겨울 이야기 | 《東亞日報》(《東亞日報》 사고社告에 “현역작가십씨동원 1938년 2월 15일부터 발표”라는 제목 아래 이효석의 「겨울 이야기」가 연재될 것이라고 소개하였으나 해당 신문에 실제로 발표된 작품은 「막」임) |
1938.5.5~14 | 막幕(전 6회) | 《東亞日報》 |
1938.9 | 공상구락부空想俱樂部 | 《鑛業朝鮮》 |
1938.9 | 부록附錄 | 《四海公論》 4권 9호 |
1938.9 | 소라蠑螺 | 《農民朝鮮》 |
1938.10 | 해바라기 | 《朝光》 |
1938.12 | 가을과 산양山羊 | 《野談》 36호 |
1939.2.9 | 해바라기(단편집短篇集) | 學藝社 (豚, 揷話, 受難, 山精, 薔薇 病들다, 幕, 附錄, 해바라기 등 8편을 수록) |
1939.2 | 산정山精 | 《文章》 1호 |
1939.2 | 은빛송어銀の鱒 | 《外地評論》일본어로 발표, 한성례 옮김 |
1939.4 | 성화聖畵(단편집短篇集) | 三文社(聖畵, 거리의 牧歌, 오리온과 林檎, 山, 들, 고사리, 粉女, 人間散文, 聖餐, 개살구, 四溫肆想, 채롱, 地峽, 늪의 神秘, 靑葡萄의 思想 등 15편 수록, 『朝鮮文人全集』 제9권) |
1939.7 | 황제皇帝 | 《文章》 증간 7호 |
1939.9 | 화분花粉 |
人文社
|
1939.9 | 향수鄕愁 | 《女性》 42호 |
1939.10 | 일표一票의 공능功能 | 《人文評論》 創刊號 |
1939.11.29~12.28 | 여수旅愁(전 20회) | 《東亞日報》 |
1940.1.7~4.28 | 녹색의 탑綠の塔 (전 15회) | 《國民新報》일본어로 발표, 한성례 옮김 |
1940.1.25~7.28 | 창공蒼空(전 148회) |
《每日新報》
|
1940.2 | 돈豚 |
『朝鮮小說代表全集』
|
1940.3 | 메밀꽃 필 무렵蕎麥の花の頃 |
『朝鮮文學選集』 제1권
|
1940.4.10 | 일표의 공능一票の效能 |
《京城日報》
|
1940.7 | 은은한 빛ほのかな光 |
《文藝》
|
1940.10 | 합이빈哈爾濱(하얼빈, Harbin) | 《文章》 19호 |
1940.12.10~12 | 가을秋 |
《滿鮮日報》한성례 옮김 (일본어로 발표, 정확한 출전과 발표 시기에 관하여 논란이 있음)
|
1941.2 | 라오콘Laocoȏn의 후예後裔 | 《文章》 23호 |
1941.5 | 산협山峽 | 《春秋》 4호 |
1941 5.18 | 봄 의상春衣裳 | 《週刊朝日》(일본어로 발표), 구자운 옮김 |
1941.8 | 벽공무한碧空無限 | 博文書館(장편소설) |
1941.11 | 엉겅퀴의 장薊の章 |
《國民文學》1호 (일본어로 발표), 한성례 옮김
|
1941.12 | 이효석단편선李孝石短篇選 |
博文書館
|
1942.1 | 일요일日曜日 | 《三千里》 |
1942.1 | 풀잎 | 《春秋》 12호 |
1942.6 | 서한書翰 | 《朝光》 80호, 유작遺作 |
1942.8 | 황제皇帝 |
《國民文學》 9호
|
1943.3 | 황제皇帝(단편집短篇集) |
博文書館 |
1943.7 | 만보萬甫 | 《春秋》 30호, 유고遺稿 |
미상 | 미완未完의 유고遺稿-미발표 일본어소설 | 제목 미상, 최초 게재 불명 |
미상 | 소복素服과 청자靑磁 | 출처 미상 |
'이효석작품 서지목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지목록 (콩트, 시나리오/희곡, 번역작품, 평론, 설문 및 좌담회, 잡고, 전집, 영화/드라마, 연극/오페라 (0) | 2019.02.21 |
---|---|
서지목록 (수필 및 서간문) (0) | 2018.05.21 |
서지목록 (콩트, 시나리오/희곡, 번역작품) (0) | 2018.05.21 |
서지목록 (평론, 설문 및 좌담회) (0) | 2018.05.21 |
서지목록 (잡고, 이효석전집, 영화/드라마, 연극/오페라) (0) | 2018.05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