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필 및 서간문
연도 | 작품명 | 비고 |
1930.11.14 | 서점書店에 비친 도시都市의 일면상一面相 | 《朝鮮日報》 |
1931.9 | 북국풍물北國風物 | 《時代公論》 |
1933.3 | 무풍대無風帶 | 《三千里》 5권 3호 |
1933.3 | 문인서한집文人書翰集 (1) 이효석李孝石 씨氏로부터 최정희崔貞熙 씨氏에게 | 《三千里》 5권 3호 |
1933.4 | 삼일간三日間 | 《三千里》5권 4호 |
1933.6.3 | 북위北緯 42도度 | 《每日申報》 |
1933.9.20 | 단상斷想의 가을 | 《東亞日報》 |
1934.7 | 이등변삼각형二等邊三角形의 경우境遇 | 《月刊每申》 |
1934.10 | 두 처녀상處女像 | 《月刊每申》 |
1935.7 | 성수부聖樹賦 | 《朝鮮文壇》 24호 |
1935.8 | 여름삼제三題 | 《中央》 |
1935.10.5~6/8 | 지협地峽의 가을(전 3회) | 《朝鮮日報》 |
1935.12.25 | 데생DESSIN | 《朝鮮日報》 |
1936.2 | 순진純眞한 정미情美를 느끼게 하는 “블랑슈”급級의 여인女人- 내가 꾸미는 여인女人 | 《朝光》 |
1936.3.19~21 | 북국춘신北國春信(전 3회) | 《東亞日報》 |
1936.4 | 발발이 | 《中央》 |
1936.4 | 六月에야 봄이 오는 북경성北鏡城의 춘정春情 | 《朝光》 2권 4호 |
1936.6. 24 | 바다로 열린 녹대綠帶-그리운 녹향綠鄕 | 《東亞日報》 |
1936.7 | 동해東海의 여인麗人 | 《新東亞》 |
1936.7 | 모기장 | 《中央》 |
1936.7.10 | 뛰어들 수 없는 거울 속 세계世界 | 《朝鮮日報》 |
1936.8 | 수상록隨想錄 | 《朝鮮文學》 |
1936.8 | C항港의 일척一齣 | 《朝光》 |
1936.9 | 샹송 도톤Chanson d'automne | 《朝光》 |
1936.9 | 처녀해변處女海邊의 결혼結婚 | 《女性》 |
1936.9.29 | 청포도靑葡萄의 사상思想 | 《朝鮮日報》 |
1936.10 | 사랑하는 까닭에 | 《女性》 |
1936.10 | 생활生活의 기록 - 바다로 간 동무에게 | 《朝光》 |
1936.11 | 영서嶺西의 기억記憶 | 《朝光》 |
1936.12 | 고요한 '동DON'의 밤 | 《朝光》 |
1936.12 | 전원교향악田園交響樂의 밤 | 《女性》 |
1936.12 | 출세작出世作의 로맨스-실없는 출발出發 | 《風林》 |
1937.1 | 계절의 낙서季節の落書 | 《金融組合》100호 |
1937.2.17~20 | 사온사상四溫肆想 | 《朝鮮日報》 |
1937.4 | 남창영양南窓迎陽 | 《組光》 |
1937.4 | 봄 편지 | 《少年》 1권 1호 |
1937.4 | 호텔 부근附近 | 《四海公論》 |
1937.5 | 마음의 그늘こころの陰翳 | 《金融組合》104호 (일본어로 발표), 한성례 옮김 |
1937.5 | 마음에 남는 풍경風景 | 《朝鮮文學》 |
1937.5 | 쇄사?事 | 《白光》 5호 |
1937.5 | 에돔의 포도葡萄송이 | 《女性》 |
1937.5.4~8 | 화춘의장花春意匠(전 5회) | 《朝鮮日報》 |
1937.6 | 시詩를 찾는 마음 | 《朝鮮文學》 |
1937.7.25/28~29 | 나의 수업시대修業時代―작가作家의 올챙이 때 이야기 | 《東亞日報》 |
1937.7.30/8.4/7~8 | 피서지避暑地 관북통신關北通信(전 4회) | 《東亞日報》 |
1937.8 | 주을朱乙의 지협地峽 | 《朝光》 |
1937.8.18 | 마치 빈민굴貧民窟에 사는 심정心情 | 《朝鮮日報》 |
1937.9 | 인물人物 있는 가을 풍경風景 | 《朝光》 |
1937.10.17~19 | 구도構圖속의 가을(전 2회) | 《東亞日報》 |
1937.11 | 조개 숟가락貝殼の匙 | 《金融組合》110호 (일본어로 발표), 한성례 옮김 |
1938.1 | 밀른의 아침 | 《三千里文學》 제1집 |
1938.1 | 국화분菊花盆 - 우리 집의 화분 | 《朝光》 |
1938.4.28~29/5.3~5 | 채롱(전 5화) - 시골/소설小說/영화映畵/우유牛乳/향연饗宴 | 《朝鮮日報》 |
1938.6 | 늪의 신비神秘 | 《朝光》 |
1938.8 | 수목에 대하여樹木について | 《金融組合》119호 (일본어로 발표,《朝鮮畵報》1943년 4월호 재수록), 한성례 옮김 |
1938.9 | Miss 다니엘 다리유Danielle Darieux - 스크린 여왕女王에게 보내는 편지 | 《朝光》 |
1938.9.16 | 일기일절日記一節 | 《東亞日報》 |
1938.10 | 남방비행기타南方飛行其他 | 《三千里》 10권 10호 |
1938.10 | 여성女性의 매력魅力 | 《女性》 |
1938.11 | 감명感銘 깊은 서적소개書籍紹介 | 《女性》 |
1938.12 | 낙랑다방기樂浪茶房記 | 《博文》 3호 |
1938.12 | 낙엽落葉을 태우면서 | 《朝鮮文學讀本》 (朝鮮日報社 발행) |
1939.1 | 수선화水仙花 | 《女性》 |
1939.1 | 포화飽和된 배열配列 | 《朝光》 |
1939.1 | 《춘향전》내연 무렵春香傳來演の頃 | 《金融組合》124호 (일본어로 발표), 한성례 옮김 |
1939.4.1 | 인물시험人物試驗 | 《每日新報》 |
1939.4.3 | 새와꽃鳥と花 | 《國民新報》 |
1939.5 | 느티나무 아래 - 김동인 씨金東仁氏에게 | 《女性》 |
1939.5 | 행복幸福의 부부夫婦 | 《家庭の友》 |
1939.5.19 | 만습기晩習記 | 《每日申報》 |
1939.5.27~28 | 오월의 불만(전 2회) | 《朝鮮日報》 |
1939.6 | 유경식보柳京食譜 | 《女性》 |
1939.8.3 | 마리아 막달라Maria Magdala | 《每日申報》 |
1939.8.7~10 | 소하일기銷夏日記(전 4회) | 《每日申報》 |
1939.9 | 물 위水の上 | 《金融組合》132호 (일본어로 발표), 한성례 옮김 |
1939.9 | 상하上下의 윤리倫理 | 《文章》 1권 8호 |
1939.9.10 | 신추新秋 | 《國民新報》(일본어로 발표), 한성례 옮김 |
1939.9.15~17/19 | 대륙의 껍질大陸の皮 | 《京城日報》(일본어로 발표), 한성례 옮김 |
1939.10 | 첫 고료稿料 - 작가생활作家生活의 회고回顧 | 《博文》 12호 |
1939.10.15 | 야과찬野菓讚 | 《每日申報》 |
1939.11.7~9 | 추창수필秋窓隨筆 | 《朝鮮日報》 |
1939.11 | R의 소식消息 | 《朝光》 49호 |
1939.11 | 북만주 소식北滿だより | 《朝鮮及滿洲》(일본어로 발표), 한성례 옮김 |
1939.12 | 금년今年의 수획收獲 | 《朝光》 |
1940.1 | 편지 | 《太陽》 |
1940.1 | 계절季節의 낙서落書 | 《新世紀》 |
1940.1.9 | 조선적朝鮮的 성격性格의 반성反省 - 연두송年頭頌 | 《東亞日報》 |
1940.2 | 노마駑馬의 십년十年 | 《文章》 2권 2호 |
1940.2 | 이성간異性間의 우정友情 | 《女性》 |
1940.4.5~7/9 | 유도소식柳都だより | 《京城日報》(일본어로 발표), 한성례 옮김 |
1940.5.22 | 최정희崔貞熙 씨에게 | 『이효석전집』6권336p(창미사,1983) |
1940.6 | 장덕조 씨에게 - 문인시객서한文人詩客書翰(남녀 문인 간男女文人間의 십통(十通) | 《三千里》 |
1940.7 | 괴로운 길―예술가藝術家의 생활초生活抄 | 《三千里》 12권 17호 |
1940.7.30 | 산협山峽의 시詩 | 《朝鮮日報》 |
1940.8 | 화초花草(1) - 녹음독본綠陰讀本 | 《人文評論》 |
1940.9 | 화초花草(2) - 수필隨筆 | 《朝光》 |
미상 | 화초花草(3) | 《新天地》19호 |
1940.9 | 오식誤植 | 《博文》20호 |
1940.11.26~27 | 새것과 옛것―만주여행 단상 | 《滿洲日日新聞》(일본어로 발표), 한성례 옮김 |
1940.12 | 주을朱乙 가는 길에 | 《三千里》 |
1940.12 | 주을소묘朱乙素描 | 《文化朝鮮》(일본어로 발표), 한성례 옮김 |
1941.6 | 한식일寒食日 | 《新世紀》 3권 3호 |
1941.8 | 녹음綠陰의 향기香氣(장미/사랑/小說) | 《朝光》 |
1941.8 | 포도 그늘葡萄の蔭 | 《博浪沙》(일본어로 발표, 『근대조선문학 일본어작품집 1908~1945』에 재수록), 한성례 옮김 |
1941.8 | 복도에서廊下で | 《金融組合》154호 (일본어로 발표), 한성례 옮김 |
1941.9.7 | 비상非常의 추秋와 나의 독서讀書 | 《每日新報》 |
1941.11 | 사랑의 판도版圖 | 《春秋》 |
1941.12 | 소요逍遙 | 《三千里》 |
1942.1 | 세월歲月―작금인물왕래昨今人物往來 | 《朝光》 |
1942.3 | 겨울 여행冬の旅 | 《朝光》(일본어로 발표), 한성례 옮김 |
1942.5 | 독서讀書 | 《春秋》 |
1942.5 | 오월의 하늘五月の空 | 《新時代》(일본어로 발표), 한성례 옮김 |
1942.5 | 《풍년가豊年歌》 보던 날 밤 - 전시작가일기戰時作家日記 | 《大東亞》 14권 3호 |
1943 | 이효석씨 로부터 - 서간문 | 서간문 강화書簡文講話(이태준李泰俊, 博文書館) |
미상 | 생활과 화단 | (유족 소장 유고) |
미상 | 금강산金剛山에 계신 문우文友에게 | 서간문내용을 미루어 유진오가 동아일보에『화상보華想譜』를 연재하던 1938년으로 추정됨.『이효석전집』6권359p(창미사,1983) |
미상 | 김동환 씨金東煥氏에게 - 서간문 | 서간문내용을 미루어 계간《삼천리문학》제3호 발간 전前인 1938년 초여름으로 추정됨. 『이효석전집』6권361p(창미사,1983) |
'이효석작품 서지목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지목록 (콩트, 시나리오/희곡, 번역작품, 평론, 설문 및 좌담회, 잡고, 전집, 영화/드라마, 연극/오페라 (0) | 2019.02.21 |
---|---|
서지목록 (시, 소설) (0) | 2018.05.21 |
서지목록 (콩트, 시나리오/희곡, 번역작품) (0) | 2018.05.21 |
서지목록 (평론, 설문 및 좌담회) (0) | 2018.05.21 |
서지목록 (잡고, 이효석전집, 영화/드라마, 연극/오페라) (0) | 2018.05.21 |